본문 바로가기
경제학

정상재(Nomal Goods)와 열등재(Inferior Good), 행복 지수에 미치는 영향

by Econ Sense 2023. 8. 11.

이번 글에서는 행복 지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인 정상재와 열등재에 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경기 호황과 불황 시기에 정산재와 열등재에 대한 수요를 구체적이고 다양한 사례들로 알아본 후, 이러한 요소가 행복 지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살펴보겠습니다.

경기 호황 시기의 정상재와 열등재

경기 호황은 경제가 확장하고 생산과 소비 활동이 증가하는 시기를 의미합니다. 이 때 소비자들은 더 많은 돈을 가지고 있으며, 고가의 상품이나 럭셔리 제품을 구매하는 경향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정상재의 수요는 경기 호황 시기에 증가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열등재의 수요는 경기 호황 시기에는 감소할 수 있습니다. 소비자들은 더 높은 수준의 소득을 얻게 되면 저렴한 대안을 선택하지 않고 고가의 제품을 선호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경기 호황 시기에 정상재인 럭셔리 브랜드 제품의 수요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시기에 소비자는 더 고가의 요리나 음식을 판매하는 레스토랑에서 식사를 많이 하면 경향을 보일 것이지만, 열등재인 저렴한 패스트 푸드의 수요는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이에 더해 소비자들이 더 고가의 새 제품을 구매할 가능성이 높아져 열등재인 중고 의류 시장의 수요는 감소할 수 있습니다.

경제 불황 시기의 정상재와 열등재에 대한 수요의 변화

경기 침체는 경제가 둔화되고 생산과 소비 활동이 감소하는 시기를 의미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소비자들은 더욱 신중하게 돈을 쓰려고 합니다. 그 결과로 고가의 정상재의 수요는 감소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가의 전자제품이나 럭셔리 의류와 같은 상품은 경기 침체 시기에는 덜 구매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경기 침체 시기에는 소비자들이 필수품과 기본 생활용품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일 수 있습니다. 식료품, 의료용품 및 가정용품과 같은 필수품의 수요는 정상재보다 감소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경기 침체 기간에는 또한 더 많은 소비자들이 저렴한 대안을 찾기 위해 열등재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저렴한 패스트푸드나 중고 의류 시장과 같은 열등재의 수요는 경기 침체 기간에 늘어날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예와 함께 살펴보면 정상재인 고가의 스마트폰 수요 감소할 수 있습니다. 경기 침체 시기에는 소비자들이 최신 기술을 갖춘 고가의 스마트폰보다는 더 저렴한 모델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식료품 및 가정용품 수요 유지: 경기 침체 시기에는 필수품의 수요가 줄지 않을 수 있으며, 가정에서 필요한 상품들에 대한 수요는 유지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열등재인 중고 의류 시장 성장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경기 침체 시기에는 소비자들이 더 저렴한 중고 의류 시장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있어 수요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열등재 소비와 행복 지수 간의 관계

열등재 소비와 행복의 관계는 복잡하며, 많은 요인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상황에서 열등재 소비와 행복 지수 간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우선 필수품과 행복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겠습니다. 소득이 낮은 사람들은 종종 열등재를 선택하여 필수적인 요구를 충족시키려고 합니다. 식료품이나 의료 서비스와 같은 필수품을 얻을 수 있을 때, 사람들은 안정감과 만족감을 느낄 가능성이 큽니다. 이로 인해 행복 지수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족이 식사를 할 수 있는 충분한 음식을 확보할 수 있다면, 그들은 건강하게 성장하고 행복하게 지낼 수 있을 것입니다. 다음으로 경제적 부담과 스트레스 감소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저렴한 열등재를 선택함으로써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높은 비용을 필요로 하는 정상재를 선택하지 않아도 되므로 금전적인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이는 행복 지수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저소득층 가정에서는 가족 구성원들의 건강을 지키면서도 의료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열등재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비교와 만족도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그러나 열등재 소비가 항상 행복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때로는 다른 사람들과의 비교나 사회적 압박으로 인해 열등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행복 지수가 저하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변 친구들이 높은 소득으로 고가의 상품을 소비하는 반면에 자신은 그러지 못할 때, 열등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열등재 소비와 행복의 관계는 단순한 인과관계로 설명되기보다는 복잡하게 엮여 있습니다. 필수품을 얻음으로써 안정감을 얻거나 경제적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어 행복 지수가 향상될 수 있지만, 사회적 비교나 열등감으로 인해 행복 지수가 저하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열등재 소비의 효과를 평가할 때는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야 합니다. 무엇보다도, 열등재 소비가 행복을 높이는지 여부는 개인의 가치관, 우선순위, 사회적 문화적 배경 등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열등재 소비가 행복을 창출하는데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이해하고, 자신과 가족의 필요와 가치를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입니다. 최종적으로, 열등재 소비는 행복의 중요한 한 요소일 수 있지만, 단독으로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닙니다.

 

지금까지 정상재와 열등재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번 시간에 알아보았던 개념과 연결하여 베블렌 효과(Veblen effect)에 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